
아시아 태평양에서의 FedEx 역사
아시아 태평양에서의 FedEx 역사
FedEx Express(FedEx)의 역사는 글로벌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안한 25년 전, 유럽과 아시아에 사무실을 두고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던 Gelco Express International사를 처음 인수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84년
유럽 및 아시아 지사를 갖춘 배송업체인 Gelco 인수
중국 및 일본에 FedEx 사업 설립
1987년
하와이에 첫 번째 FedEx 아시아 태평양 지부 설립
1988년
일본으로 직항을 통한 예약 화물 운송 서비스 최초 개시
포틀랜드, 오리건, 나리타 간 주 4회 항공 운송 개시
1989년
Flying Tiger Line을 인수하여 21개 국가/지역으로 운항권 획득
호주, 대한민국, 말레이시아에 FedEx 사업 설립
1990년
대만에서 FedEx 사업 운영 개시
1991년
말레이시아 현지 배송 업체인 Nationwide Express와 회사 보유의 운송차량을 인수해 말레이시아에서 자체 지상 운송 업무 시작
대한민국 내 FedEx GSA로서 Flying Korea Co. Ltd. 인수
199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본사를 홍콩으로 이전
1994년
특송 운송사 중 최초로 중국 세관과 전자 시스템으로 연결
베이징 및 상하이로의 주 1회 운항을 시작하며 중국 내외로 자체 항공편 운항 개시
1995년
필리핀 수빅만 허브를 개설하여 FedEx AsiaOne® 아시아 역내 서비스 시작
중국 내외로 화물 운송 개시
1996년
중국 및 홍콩을 수빅만 HUB와 미국에 직항 노선으로 연결
미국-중국 간 직항 운송 서비스 허가 획득
1997년
전 세계 운항을 시작하여 유럽, 아시아, 미국 간의 운송 서비스 향상
중국-미국 및 중국-아시아 항공 운송을 주 4회로 확대
대만에서 FedEx Chiang Kai Shek(CKS) Transshipment Center 운영 개시
말레이시아에서 국적기 항공사를 제외하고 자체 항공기를 운항하는 첫 번째 항공사가 됨
한국 내 서울 8개 지역 및 지방 5개 도시로 픽업 및 배송 서비스 확대
완전 자동화 인터넷 배송 시스템인 FedEx interNetShip® 도입.
1998년
세부, 자카르타 및 시드니를 AsiaOne® 네트워크에 연결
미국-일본 상호항공협정 체결로, 일본 착발 시 중간지점 및 이원지점(intermediate and beyond points)을 모두 운항할 수 있는 무제한적 권한을 갖는 유일한 미국 전역 화물 운송 업체가 됨
중국 111개 도시로 픽업 및 배송 서비스 확대
홍콩국제공항의 Asia Airfreight Terminal에서 FedEx 전용 특송 시설 운영 개시
영업일 기준 1일 안에 싱가포르에서 미국 내 90개 주요 도시로 오전 8시까지 Door-to-Door 배송이 가능한 FedEx International First® 도입
쿠알라룸푸르국제공항에 FedEx Cargo Facility 개설
윈도(Windows) 기반 배송 솔루션인 FedEx Ship 도입
1999년
중국 심천을 AsiaOne 네트워크에 연결
태국 FedEx 사업에 관한 전체 소유권과 관리 이전
심천공항(그룹)과 계약을 체결하여 심천 운항 시작
베이징 및 상하이 운항 스케줄을 주 5회로 확대
Da Tian W. Air Service Corporation과 함께 합작회사 Federal Express-Da Tian Co., Ltd.를 텐진에 설립
중국 144개 도시로 픽업 및 배송 서비스 확대
아시아 전역의 FedEx IT 서비스 및 운영 허브인 Singapore Data Center 개설
2000년
Tower Group International을 인수하여 폭 넓은 글로벌 무역 서비스 제공
도쿄에서 베이징 및 미국으로 주 5회 운항편 추가
중국 190개 도시로 픽업 및 배송 서비스 확대
중국에서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국립 워싱턴 동물원(National Zoological Park)으로 자이언트 판다 2마리 이송.
Pri-Ex Inc.사 인수로 완전한 한국 직영 서비스 개시
태국에 7개 항공편(동부 1개, 서부 6개) 추가
2001년
베트남을 AsiaOne 네트워크에 추가
상하이와 미국을 직접 연결하는 중국 운항 횟수 추가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의 International Express Shanghai Customs Supervision Center에 FedEx-Da Tian 특송 취급 시설 운영 시작
중국 198개 도시로 픽업 및 배송 서비스 확대 일본 간사이국제공항에 수입/수출 시설 통합
National Geographical Channel이 주최하는 아시아 태평양 전시 투어 중인 11미터 길이의 SuperCronc(공룡을 먹던 1억 1천만년 전 악어) 골육 재현 조형물을 AsiaOne 네트워크 통해 운송
2002년
미국,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을 연결하는 세계 노선 출항
화물기를 MD-11로 업그레이드하고, 물류 적재 용량을 두 배로 증설함과 동시에 일일 운송량을 50톤까지 확대함으로써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유럽 간의 항공 운송 서비스 강화
수빅만의 주 분류 시설을 두 배 크기인 140,000평방미터로 확장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에 8,700평방미터의 시설 확장
Singapore Post(SingPost)와 전략적 리테일 협정 체결로 FedEx 고객이 SingPost 지점에서 패키지를 보낼 수 있게 됨
중국 본토에서 국제 특송 업체 유일의 운임환불보장제 최초 실시
2003년
2002년 동티모르 독립 이후 특송사 중 최초로 딜리(Dili) 로 평일 Door-to-Door 특송 서비스 제공
중국 고객에게 더욱 집중적이고 즉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이를 중심으로 중국을 독립적인 지역으로 지정
업계 최초로 중국 남부에서 북미 지역으로 직항 운송 시작
중국에서 미국 테네시 주의 멤피스 동물원(Memphis Zoo)으로 자이언트 판다 2마리 이송
2004년
U.S. DOT로부터 중국발 운항 횟수 12회 추가 획득
상하이에 중국 지역 본사 설립
한국의 주간 운항 스케줄에 7편을 추가하여 국제 특송 운송업체 중에서 한국 운항편수를 최다 보유하게 되었으며, 방문접수 마감 시간을 2시간 연장
싱가포르에 아시아 14개 국가를 총괄하는 Asia Pacific Financial Services Center 개설
아시아, 유럽 및 미국에서 홍콩으로 보내는 모든 형태와 크기의 인바운드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에 운임환불보장제가 적용되는 정오 배송 서비스 시작
호주의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에서 특수 품목으로 분류되거나 제한되는 물품에 대해 안전하고 신속한 정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International Priority Dangerous Goods(IPDG) 서비스 시작
싱가포르의 모든 고객에게 모든 패키지의 오전 배송 시작
2005년
멤피스에서 출발/도착하는 전 세계 서부 노선 운송로를 통해 상하이에서 독일 프랑크푸르트까지 운항하는 중국과 유럽 간 특송 직항로를 최초로 운영
태국에서 특수 분류되고 제한되는 물품에 대한 정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International Priority 서비스인 IPDG 시작
중국 남부의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에 새 아시아 태평양 허브 설립 계획 발표.
유럽, 인도, 중국, 일본을 멤피스의 FedEx U.S. 허브와 연결해주는 전 세계 동부 노선 운송로를 이용하여 특송 업계 최초로 인도와 중국 간 야간 직항로 운영.
2006년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에서 FedEx 아시아 태평양 허브 착공식 개최
FedEx-DTW International Priority 특송 합작 회사에 대한 DTW Group의 지분 50% 인수 및 DTW Group의 중국 내 특송 네트워크를 미화 4억 달러에 취득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
2005년 U.S. DOT로부터 추가로 부여받은 중국 항공편 3회 운항을 개시하여 총 중국 항공 운항 횟수가 26회로 증가
서울과 앵커리지 간 직항 항공 서비스 시작. 주 5회 운항을 통해 한국에서 미국 및 다른 아시아 도착지로의 FedEx 운항이 총 25편에 달함
호주 브리즈번 공항에 새로운 시설을 개설해 브리즈번 특송 화물 가능 적재량이 두 배 이상 증대
일본 수도권 지역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사무소인 Shinsuna 사무소 신설. 19,000평방미터가 넘는 방대한 규모의 이 신설 사무소는 400명 이상의 직원을 수용할 수 있고 시간당 6,000개의 패키지를 분류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
2007년
중국 내 30여 개 이상의 도시에 익일 배송(영업일 기준)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 전역 200여 곳에 날짜 지정(day-definite)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 내 익일 배송(영업일 기준) 서비스 운영 발표.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하는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시간당 최대 9,000개의 패키지를 분류할 수 있음
2007년 3월 25일부터 FedEx에 미국-중국 간 주 30회의 운항횟수 운영권 획득
2008년
호주, 중국 본토,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13개국 시장에 FedEx International Economy® 서비스 개시
베트남으로 운항하는 새 에어버스 A310편 서비스 개시로 수출입 운송량 5배 증대 및 수도 하노이 수출입 화물의 운송 시간 하루 단축
아시아 태평양 웹사이트를 개편하고 웹 기반 발송 도구인 FedEx Ship Manager at fedex.com을 개선하여 더욱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빠르고 편리한 발송 시스템 구축
중국 내 FedEx 서비스 시작 1주년 기념으로 중국 9개 주요 도시로의 익일 오전 배송 제공 및 양쯔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베이징, 톈진에 지역 내 접수 마감시간 연장 서비스 제공
2008년 12월에 중국 남부 광저우에 있는 새 아시아 태평양 허브에서 첫 번째 시범 운항을 마치고 예정된 운항 개시 발표
2009년
2009년 2월 6일에 중국 남부 광저우의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에 있는 새 아시아 태평양 허브에서 운송 업무 시작
중국 동부의 국제 특송 서비스 이용 고객 및 중국 전역의 국내 정시배송 이용 고객을 위해, 2009년 6월 중국 우한에 FedEx 고객서비스센터 개설
중국, 홍콩, 싱가포르와 프랑스, 독일을 연결하는 익일 배송(영업일 기준) 서비스 도입. 본 서비스 향상으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홍콩, 상하이, 싱가포르를 출발해 프랑크푸르트, 쾰른, 파리로 가는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발송물이 하루(영업일 기준)만에 배송 가능
2009년 3월과 5월부터 중국 주강 삼각주 지역에서 각각 접수 마감시간 연장 및 조기 배송 서비스 제공
2009년 10월부터 중국 상하이의 FedEx 인바운드 국제 특송 서비스 개선. 개선된 배송 시간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상하이 대부분 지역으로 가는 모든 인바운드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서비스 화물에 대해 운임환불보장과 함께 적용
2010년
1월 4일부터 중국 상하이와 테네시 주 멤피스의 FedEx Super HUB를 연결하는 Boeing 777 화물 수송 서비스 최초 시작
1월 4일부터 중국 국내 서비스를 위한 FedEx General Delivery를 시작하여 더욱 경제적이면서 정시 배송 서비스는 아니나 고객이 FedEx에 기대하는 안정성 제공
2월 홍콩 FedEx가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배송트럭 2대를 인도받음. FedEx가 현재 사용 중인 기존 디젤 차량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30% 감소해 홍콩의 환경 개선에 공헌
3월, 아시아에서 유럽-중동(EMEA) 및 라틴 아메리카로 가는 FedEx International Economy 및 International Economy® Freight 서비스 확대. 양쪽 지역에 각각 11개와 15개의 도착지가 추가되어 EMEA 지역의 도착지는 총 36곳, 라틴 아메리카의 도착지는 총 16곳이 됨.
3월 29일부터 홍콩과 테네시 주 멤피스의 FedEx Super HUB를 연결하는 Boeing 777 Freighter 서비스를 시작하고, 홍콩에서 프랑스 파리의 유럽 허브로 가는 새로운 익일 배송(Overnight) 서비스 시작
대만 공영 우편 서비스 기관인 Chunghwa Post와 민간대행 계약을 맺어 대만 내 FedEx 네트워크에 약 1,000개의 서비스 지점 추가. FedEx Authorized Ship Center로 인정되는 1,000개 이상의 Chunghwa Post에서 단계적으로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서비스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만 우편물 배송 지역의 95% 이상에 혜택 제공
6월부터 일본 오사카의 간사이 국제공항과 테네시 주 멤피스의 FedEx Super HUB간에 Boeing 777 Freighter를 이용한 논스톱 항공 서비스 시작. 본 항공편은 싱가포르에서 출발
6월, 다양한 온도 조절 화물 컨테이너를 비롯하여 FedEx HealthCare Solutions™ 서비스군의 일부로 의료 및 의약 분야 고객을 위한 온도 조절 화물 컨테이너 및 포장재 솔루션 등 FedEx의 최신 역량 발표.
9월, 상하이, 쑤저우, 항저우, 닝보, 사오싱에서 유럽 서비스 지역으로 가는 모든 FedEx 국제 저가 발송물에 대한 픽업 시간 연장 발표. 화요일~금요일까지 이 5개 도시의 일부 지역에 있는 고객들은 추가로 2시간의 발송 준비 시간 확보
10월, 2대의 새로운 항공편이 추가되어 중국과 미국 간 FedEx 항공 연결 향상. 중국 베이징에서 출발해 한국 인천을 경유한 후 알래스카 앵커리지로 가는 새 태평양 횡단 운항 서비스 및 심천과 미국 테네시 주 멤피스의 FedEx Super HUB를 연결하는 Boeing 777 화물 수송 서비스 추가
10월, FedEx Electronic Trade Document 솔루션이 출시되어 호주, 홍콩, 일본, 마카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한국, 태국의 발송인이 국제 발송 문서를 전자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게 됨. 통관 절차가 간편해지는 것은 물론 시간 및 리소스 절감
11월부터 하노이 착발 주 4회 항공편을 화요일~금요일까지 운항 개시. 이 새로운 전용 운항 서비스로 하노이에서 출발하는 아웃바운드발송의 배송 기간이 영업일 기준 1일 단축
12월부터 홍콩과 프랑스 파리의 FedEx 유럽 허브를 연결하는 직항 서비스에 Boeing 777 화물기 배치
12월부터 중국 동부에서 미국으로 가는 FedEx 당일 국제 발송 서비스가 개선되고 월요일~금요일까지 픽업 마감 시간이 최대 2시간 연장
2011년
1월, 인도와 아시아 태평양 허브 간 새 직항 연결 도입. 새 전용 A310 항공편이 FedEx 아시아 태평양 광저우 허브에서 뭄바이 - 뉴델리 - 광저우 노선을 주 5회 연결
1월, 호주,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마카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한국,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의 모바일 사용 고객이 패키지 상태 배송 조회, 운임 견적 확인, 픽업 예약은 물론 인근 FedEx 접수처 검색을 할 수 있는 새 iPhone 및 Blackberry 응용 프로그램과 향상된 FedEx 모바일 웹사이트 출시.
1월, FedEx Critical Inventory Logistics 서비스에 대한 전 세계적인 기술 개선. 중국, 홍콩, 일본, 한국,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호주, 뉴질랜드, 대만을 포함한 모든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고객이 FedEx Critical Inventory Logistics를 이용해 지역 배포 센터 및 FSL(Forward Stocking Location)에 중요 물품 보관 가능
3월, 중국 쑤저우에 2,230평방미터 규모의 새 FedEx 사무소 개설
5월 9일부터 도쿄 수도권 인바운드 발송의 배송 시간 개선
5월, 통관, Door-to-Door, 정시 배송 서비스를 통해 중국 동부와 남부 및 싱가포르 지역에 대한 배송 서비스의 경우 화물을 배송 당일 오전 10시까지 배송하는 FedEx International First 서비스 시작
6월,FedEx International Priority®Freight서비스 개선으로 발송 화물이 홍콩 내 도착지까지 정오 전에 배송 가능
중국 동부의 수출 시장 확대 및 FedEx 인프라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푸동국제공항의 역량을 고려하여 Shanghai Airport (Group) Company Limited와 6월에 전략적 협업 각서 체결.
6월, 중국어 번체, 중국어 간체, 한국어, 일본어, 태국어를 포함한 현지 언어 버전의 FedEx 모바일 웹사이트 출시
8월, 호주, 중국, 괌,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마카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등 15개 주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엑스트라 라지 팩(XL Pak) 출시
같은 달, 아시아-유럽 노선의 FedEx 서비스를 개선하여, 인천에서 중국 광저우의 FedEx 아시아 태평양 허브를 거쳐 유럽으로 가는 기존 노선에 새 A300-600 항공기를 도입해 주 10회 운항
9월, 중국 상하이에서의 고객 수요와 패키지 증가로 현지에 FedEx 최대 사무소 개설
9월, 아시아의 FedEx International Economy 및 FedEx International Economy Freight 서비스를 증대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더 많은 출발 지점에서 더욱 다양한 도착지로의 운송 서비스가 가능해짐
10월부터 아시아 태평양에서 이탈리아로 발송되는 비서류 발송물의 배송 기간을 영업일 기준 하루 단축할 수 있도록 FedEx 서비스 개선
11월, 일본 큐슈에서 다른 아시아 도착지로 발송되는 물품의 배송 기간을 영업일 기준 하루 단축
2012년
2월, 기존의 아시아-인도 항로에 광저우-뭄바이-델리-광저우의 새 노선을 추가해 아시아에서 중동 시장으로 가는 네트워크 확장
3월, 수백 명의 FedEx 항공기 조종사의 운항 습관을 개선해 연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호주, 중국, 홍콩,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대만, 태국 등 아시아 태평양 10개국에서 친환경 운항 캠페인 개시
4월, 100% 재활용 가능한 탄소 중립 FedEx Envelope을 사용해 탄소 중립 배송 프로그램 시작.
5월, 동북아에서 미국으로 배송하는 화물의 집결지로 사용될 FedEx의 새로운 북태평양 지역 HUB를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에 설립하기로 발표.
6월, 대만에서 유럽 및 아프리카로 가는 아웃바운드 발송에 대한 전화 접수 마감 시간을 오후 7시까지 연장
중국의 상하이와 광저우에서 독일 쾰른의 FedEx HUB까지 연결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Boeing 777 Freighter 2대를 증편하여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주 5회 운항.
8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FedEx International First 서비스를 추가로 확대하여 호주 시드니 및 일본 오사카에 있는 고객이 미국, 캐나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아시아 태평양으로 오는 발송물을 더욱 빠르게 배송받을 수 있게 됨
8월, FedEx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제품군을 위한 다양한 새 도구와 확장 팩을 출시하고 206개 국가 25개 언어로 FedEx 모바일 웹사이트를 확대함으로써 아시아 태평양 30개 시장에 있는 고객들에게 혜택 제공
10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고객 지원 서비스와 글로벌 시장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싱가포르 지역의 최초이자 유일한 특송 운송 시설인 새 FedEx 남태평양 지역 허브 개설.
10월 1일부터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 FedEx Priority Alert® 및 FedEx Priority Alert Plus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서비스를 출시하여, 시간 및 온도에 민감한 발송물에 대해 최고 수준의 안정적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고객에게 더 많은 연결성과 안심 서비스 제공
10월, Shanghai Airport (Group) Company Limited(SAA)와 2017년 완공 예정인 중국 내 FedEx Shanghai International Express and Cargo Hub 설립 계약 체결.
10월, 대만과 미국 멤피스의 FedEx World HUB간 논스톱 Boeing 777 화물 수송 서비스를 시작하여 대만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아웃바운드 발송의 전화 접수 마감 시간을 최대 2시간 연장
호주 및 싱가포르에 SenseAwareSM 서비스 도입. 고객이 공급망을 보다 잘 제어하고 중요하고 시간에 민감한 발송물의 상태를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됨
2013년
3월, 홍콩에 무공해 전기 자동차 10대를 도입하여 FedEx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초로 친환경 운송 수단 도입
3월, 태국에서 두 번째로 큰 지방 주요 상업 도시인 콘캔에 FedEx Express 사무소 설립
2013년 3월 25일, "FedEx Panda Express" 전용 수송기 MD-11F로 중국 청도에서 토론토 동물원(Toronto Zoo)으로 자이언트 판다 2마리 이송
4월, 닛산과 FedEx Express가 한 팀을 이루어 싱가포르에서 100% 전기식 e-NV200 상용 차량의 필드 테스트를 수행
6월, 태국 남부 최대 도시인 핫야이(Hat Yai) 에 첫 번째 FedEx Express 사무소 개설
7월, 홍콩에 발송 화물에 대한 가시성 향상과 거의 실시간 조회가 가능한 SenseAware 서비스 도입
7월, 베이징 수도국제공항의 운영 시설을 확장해 국제 발송물 처리 물량을 증대하고 중국 북부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발송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수요 증가를 충족
8월, 최대 96시간 동안 섭씨 2~8°C의 냉장 환경을 요하는 발송물을 위한 새 "저온 배송(cold shipping)" 패키지 옵션을 포함해 13개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 온도조절 패키지(TCP) 포트폴리오를 확대
고객이 더욱 편리하게 발송을 처리할 수 있도록 호주, 중국, 홍콩, 일본,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10개 시장에 FedEx® Quick Form 도입.
10월, 다양한 저온 배송 솔루션을 한 단계 더 개선하여 온도에 민감한 화물 운송이 필요한 의료 업계 및 고객에게 서비스 제공. 여기에는 Thermal Blanket, Cold Shipping Package(저온 배송 패키지), Deep Frozen Shipping Solution(극저온 배송 솔루션) 및 ShipmentWatch가 포함
2014년
3월, 웹 기반 배송 도구인 FedEx Ship Manager를 추가 개선하여 태국어 서비스를 추가하고 중국 아웃바운드 발송에 대한 항공운송장 및 상업송장 수 축소
4월,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에 위치한 새 북태평양 지역 허브 운영을 개시하여 아시아와 미국 간 운송물의 집결 및 환적 지점으로 활용. 미국으로 가는 기존 직항 노선에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로 가는 새 노선 추가
9월, 전 세계 반송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기 위한 배송 솔루션인 FedEx® Global Returns를 도입, 소매업체에게 편집 가능 반송 라벨 및, 통관 서류, 반송 도착지 변경 등의 혜택을 제공해 반송 경험을 더욱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함
10월, FedEx International First 오전 배송 서비스에 중국, 인도네시아,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31개국의 출발지를 새로 포함하여 확대
10월, 필리핀의 제휴 접수처 네트워크 확대. 이로써 고객은 필리핀 전역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2GO Express 및 Universal Storefront Services Corporation(USSC) 313곳의 FedEx Authorized Ship Center를 통해 발송 가능
2015년
3월, 대만에서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서비스를 통해 일부 지역으로 배송되는 특정 위험물에 대한 Door-to-Door 픽업 및 배송 서비스 도입. 고객은 더 이상 공항에서 별도의 육상 운송 방법을 준비할 필요가 없음.
6월, 대만 전역 5,000개 이상의 7-ELEVEN 매장으로 서비스 확대. 이로써 FedEx 제휴 서비스 지점이 Chunghwa Post office, Eslite Bookstore, Kodak Express 스토어 및 Sir Speedy 센터의 FedEx Authorized Ship Center 1,300여 개를 더해 총 6,300개 이상이 됨
7월, 대한민국에서 FedEx® SMS 배송 조회 서비스를 출시하여 모바일 사용자가 인터넷 연결 없이도 배송 중인 발송물의 배송 조회 업데이트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됨
중국에 다양한 원스톱 콜드체인 배송 솔루션 서비스를 개시해 발송물의 냉장 유지가 필요한 고객에게 편의 제공
10월, 일본 Japan Post와 협력하여 아웃바운드 발송에 대한 새 국제 배송 서비스 시작. Japan Post는 자체 U-Global Express 국제 배송 서비스를 미국 지역까지 확장하고 미국으로 발송하는 일본 내 고객에게 픽업 서비스를 제공. FedEx는 International Economy 서비스를 제공하고, 세관 통관 업무를 처리하며, 미국 내 최종 목적지까지 배송 서비스 제공.
12월, 호주에서 ‘My FedEx Delivery’ 서비스를 시작, 호주 고객들은 수취하는 발송물에 대한 알림을 받고 온라인 포털을 통해 다양한 배송 옵션을 선택하는 등 Home Delivery를 맞춤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 증대
12월, 일본 인바운드 발송물에 대한 배송 서비스 향상. 이제 FedEx가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또는 International Economy를 통해 전 세계에서 일본으로 배송되는 모든 발송물을 픽업하고 세관 통관을 처리하게 됨. Japan Post가 최대 30kg의 일부 패키지에 대한 최종 국내 배송 업무를 처리
2016년
1월과 8월에 중국과 태국에서 각각 FedEx Customized Freight(FCF) 서비스 시작. 이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온도 제어, 패키지 보안, 발송 절차에 있어 매우 높은 수준의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발송물 및 전 세계 다른 국가로 나가는 아웃바운드 발송과 미국 및 기타 주요 아시아 국가에서 오는 인바운드 발송 처리가 가능해짐
2월, 일본에 무공해 전기 자동차 Nissan e-NV200을 보급하여 운송 수단의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CO2 배출을 줄이려는 FedEx의 목표 실현에 한 단계 더 접근
3월, '인천국제공항 FedEx Cargo Terminal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MOU 체결. 신규 FedEx 전용 화물 터미널이 2019년에 완공될 예정
3월, 테네시주 멤피스의 FedEx Express World Hub에 최첨단 콜드체인 센터 신설. 온도에 민감한 의료 장비 및 부패하기 쉬운 화물의 안정성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이 7,710평방미터 규모의 시설은 FedEx의 글로벌 저온 보관 네트워크 및 더욱 광범위한 FedEx® Healthcare Solutions의 핵심 파트를 형성
5월 25일, TNT Express의 인수 합병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세계 최고의 항공 운송 네트워크와 유럽 최고의 육상 운송 네트워크가 결합해 기존의 FedEx 포트폴리오가 확장됨
6월,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및 베트남에서 FedEx 가상 도우미 서비스 시작. 다양한 고객 서비스 터치 포인트에서 고객의 배송 관련 문의 사항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접수하고 응대할 수 있게 됨
8월, 퍼스 공항에 새로운 시설을 개설하여 호주 서부 고객들이 FedEx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더욱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 신설된 3,000평방미터 규모의 시설은 퍼스에 있던 이전 시설보다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퍼스 화물 터미널과 더욱 가까워 고속도록 진입이 편리하며 화물을 받고 분배하는 역량이 향상
최종 업데이트: 2016년 8월
1FedEx Authorized Ship Center는 발송물의 방문 접수 서비스만 제공. 7-ELEVEN에서 제공하는 FedEx 서비스는 셀프 픽업 서비스만 포함.